의뢰인의 지인인 상대방이 커피전문점을 운영하고 있던 의뢰인에게 동업을 제안하며 동업자금으로 투자금 5,000만 원 및 대여금 1,000만 원을 지급하였다가 별안간 상대방이 동업약정 파기를 주장하며 의뢰인에게 투자금 및 대여금을 일시에 반환할 것을 요청하였습니다. 당시 의뢰인은 이미 상대방으로부터 지급받은 투자금 및 대여금을 소비한 이후였습니다. 상대방은 동업자금을 임의로 소비한 것은 횡령이라는 취지로 문제제기 하였고 의뢰인의 경제사정이 넉넉지 않아 상대방이 주장하는 시일까지 투자금 및 대여금 반환이 곤란하여 투자금 및 대여금 반환 기한의 유예를 원하는 상황이었습니다.
의뢰인이 이미 먼저 커피전문점을 운영하고 있던 상황에서 상대방이 동업을 제안하며 투자금을 지급한 것이므로 상대방이 지급한 투자금은 동업재산의 성격보다는 의뢰인이 운영하고 있던 커피전문점 지분의 일부에 대한 양수도대금으로 볼 수 있고, 실제로 상대방이 투자금을 지급하며 의뢰인에게 해당 투자금의 용도와 사용처를 특정하지 않았다는 점으로 보아 의뢰인이 상대방으로부터 지급받은 투자금 5,000만 원을 임의로 소비한 것은 횡령죄가 성립될 수 없다는 점을 밝혔습니다. 또한, 동업약정 해지 후 원상회복 의무로서 의뢰인이 상대방에게 투자금을 반환해야 하는 것은 맞지만, 상대방이 투자금 지급까지 모두 완료한 상황에서 일방적으로 동업약정을 파기한 것이므로 동업약정의 일방적 파기에 따라 상대방 또한 의뢰인에게 소정의 위약금을 지급하여야 할 것이라는 점을 적극 주장하며 의뢰인 측에서 위약금을 받지 않는 대신 투자금 및 대여금의 반환 기한을 유예하는 방안을 제안하였습니다.
법무법인 YK 변호사의 조력으로 인하여 의뢰인이 상대방으로부터 동업약정 일방적 파기에 따른 위약금을 받지 않는 조건으로, 투자금 5,000만 원 및 대여금 1,000만 원의 반환 기한을 의뢰인이 원하는 기한까지 유예하기로 하는 내용으로 최종 합의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9 |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계약금 반환 청구로부터 전부 승소한 사례 | admin | 2025.03.09 | 4 |
8 | 소유권이전등기 말소청구 및 부당이득반환청구 소송에서 피고를 대리하여 원고 청구를 전부 기각시킨 사례 | admin | 2025.03.09 | 3 |
7 | 의뢰인이 상대방에게 건물을 임대해주었으나, 상대방은 차임을 계속 연체하며 위 건물을 반환하지 않는 사건 | admin | 2025.03.09 | 4 |
6 | 부당이득금반환청구 및 손해배상청구를 한 상황에서 서면 논리를 주장하여 상대방의 청구를 기각시킨 사례 | admin | 2025.03.09 | 3 |
5 | 임차인이 차임 3기 이상 연체하여, 퇴거 청구 및 연체된 임료와 임대차 목적물의 수선비 전액을 공제한 보증금만 반환하는 것으로 판단받은 사례 | admin | 2025.03.09 | 3 |
4 | 대여금 및 정산금 채권의 존재 자체를 부인하고 있는 상대방을 상대로 소를 제기하여 청구금액 전액을 인정받은 사건 | admin | 2025.03.09 | 3 |
3 | 상대방에 대해 가압류 결정 및 대여금반환소송에서 전부 승소, 형사상 사기죄로 고소하여 상대방을 구속 기소한 사례 | admin | 2025.03.09 | 1 |
2 | 호의로 증여한 금원이 대여금에 해당한다며 의뢰인을 상대로 대여금지급청구를 구하는 소를 기각시킨 사례 | admin | 2025.03.09 | 2 |
» | 동업약정 파기를 주장하며 투자 및 대여금을 반환 요청하였으나, 의뢰인이 납부 일정을 소통하여 반환 기한을 유예하는 내용으로 합의에 이른 사례 | admin | 2025.03.09 | 1 |